이야기할 내용


  • 함수소개
  • 함수예시
  • 함수는 사실  전부터 쓰고 있었다.
  • 함수에서 쓰이는 인자(=매개변수), return문


<함수>


함수란? : "코드를 저장했다 재사용하는것이다 ."

함수를 쓰는이유는 :  " 같은 작업을 반복시키지 않는것 " 이다. 


예를들어  : 

1.  우리가 쓰던 다섯줄의 코드가 있고  그 코드가 하는 작업을 다시 하고 싶을때  같은 줄의 코드를 다시 입력하고 싶지 않아한다. 

2.  그렇게 쓰던 코드가 프로그램에서 다른 열두곳에서 존재한다면 열두군데 모두 찾아서 고쳐야한다.

 


--> 다시쓸 코드를 저장해두고  호출해서 재사용하는 것이  함수가 작동하는 방식이다. 



<기본적인 함수 형태 >



  • If 구문과 비슷하다 (들여쓰기 내여쓰기)
  • def 로 시작해서 함수를 새로 정의해서 기록(저장)해둠
  • 함수이름인 thing() 을 입력하면 함수를 내보냄
  • 익숙해져야할 부분은 우리가 만든 함수는 실제로 실행되는 부분이 아니라는 점 -> 기억하는 단계라고 보자 .  (저장단계)


<사실 전부터 쓰고 있었다.>


사실 우리는 처음부터 함수를 사용하고 있었다 (예. print(), int() input( ) ......   . -->이것들이 다함수 

결과적으로 우리가 임의로 함수를 만드는것은 우리가 새로운 예약어를 만들어사용하는것이다 





<인자가 들어가는 함수>

함수를 저장하고  호출한다면 인자,매개변수를 입력해서  그함수가 하는 일을 다양하게  할 수 있다.  


예시


<설명 >
greet라는 이름으로 나라면 인사를 호출하는 함수를 저장했다. 
매개변수(lang)에 조건을 두어 다양한 인사를 호출하게 만들었다 .


<반환문 'Return'>
 
함수에 무언가를 집어 넣었다면, 무언가를 다시 가져 오는것이 반환의 개념이다 . 
함수에  무엇을 하던간에  무엇을 호출할지 , 남길지 ,반환할지 지정 할수 있는 문이다.
반환문은 두가지 일을 하는 구문이다 . 



첫번째로 하는일 : 종료. (break 문과 같은점) 
-반환문을 만나면 그아랫줄 코드 읽는 것을 멈추고   함수의 호출을 종료한다
 

두번째로 하는일: 매개변수로 간주된다 .(break문과 다른점)
- 매개변수로 간주되어 반환하고 자 하는 값을 반환하고 종료한다. 
- return은 표현의 잔여값으로 무엇을 남길지 표시할 수 있다.  


(예를 들면)


우리가 쓰는 함수를 쓸때  호출하는 표현식의 관계없이 return으로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을 보고있다. 

<return 대해 조금더 알자> 



 (예시 2)



내장 함수 max( ) 를 예시를 든다면,(max = 인자안의 값중 가장큰 값을 호출하는 내장함수) 
max( 'hello world') 를 호출한다면 인자값(int)이 'hello world'가 되고 ...

1.그 변수(int)안 어딘가에
2.(blah ,blah) 반복문을 돌려 무언가를 찾아낸 다음에 
3. return 을 통해 우리에게 다시 무엇을 돌려보내고 싶은지 말하고 있다.




< 결론 >
  •  함수란 쓰던 코드를 한곳에  저장해둔것 ( 필요할때 호출해서 쓸 수 있고,  오류날시 쉽게 찾을 수 있다. )

  • 파이썬을 배우면서 우리는 함수를 쓰고 있었다. (input( ) ,,,, print( ) 
  • 어떤함수의 인자값에 무엇을 입력했을때 무엇을  반환할지 return 으로 지정할 수있다. 
  • return은 써도되고 안써도된다 . 
  • 코드를 작성할때 반복해서 적는것에 지칠때 함수를 쓰자. 







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