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

1.변수 

  • 변수의 기본모양

  • 변수에서 "=" 를 해석할때

  • 변수 예시

  • 변수 이름 지을 떄  주의할

2.예약어

3.상수

4.결론 ( 연습) 


  



변수  (variable)


 메모리를 할당한. 공간.  하나의  포스트잇이라 생각하자 . 



<변수의 기본모양>


1
(만든 변수 이름) = (변수에 들어갈 데이터) 
cs




<프로그램에서 "=" 의 의미 >


수학에서 ="같다"라는 뜻이지만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= 는 "새롭게 정의한다" 혹은 "집어 넣는다라고 해석하자



<변수의 예시>


1
2
= 1 
= x + 1 
cs
  1. 'x'라는 변수에 상수1을 넣는다 라고 해석한다.   
  2. 변수 'x' 에 x+1이라는 데이터를 새롭게 집어 넣는다. 
  •  'x 는 1 과 같다' 라고  해석하지 말자 
  • (나중에 수학에서  "같다"라는 표현은  pytohn에서는 '==' 로 표현하기에 미리 '=' 의미를 구분지어서 알아두자.  
  • 상수 : 변하지 않는수  문자열이 될수 있고 , 숫자가 되기도 한다. (예시.  3 , 123,  "hello world" ,"123") 


<변수 이름 지을 때 주의할 점 >
  • 예약어와 같은 이름을 쓰지 말자.  (print , class .......)
  •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. 
  • 언더스코어 ( _ ) 를 제외한 모든 특수문자로 시작할 수없다 


예약어 (Reserve word)  


어떤 의미가 이미 들어간 언어로 

특별한 의미가 있기에 쓰지 말라고 정해둔 언어다 . 

(예시.  print. , class  등)

따라서 예약어들은 변수를 선언할때 사용하면 안된다 .

(예시.   class = "1반"  으로 쓰면 안된다.


# print 는 예약어입니다 

print (c);
 
# 잘못된 표현 (예약어는 변수이름이 될 수 없다. )
print = " 1 "   
cs

상수  (constant)

변하지 않는수  문자열이 될수 있고 , 숫자가 되기도 한다. (예시.  3 , 123,  "hello world" ,"123") 


 

결론 (연습해보자) 

1
2
3
4
5
= "hungry"
= 2
= 3
= a * b
print(c) 
cs



  1.  "a" 라는 변수를  만들고 "hungry" 라는 상수를 넣는다 .

  2.  "a" 라는 변수에  2라는 상수를 새로 집어넣는다. 

  3.  "b" 라는 변수를  만들고 3이라는 상수를 대입한다. 

  4.  "c" 라는 변수에  변수 a 값과 변수 b값을 곱한 값을 집어 넣는다. 

  5. print라는 예약어를 사용해서 c의 값을 도출한다. (도출된 값은 6) 


+ Recent posts